후원자 마음을 움직이는 스토리텔링 콘텐츠 작성법
후원자 마음을 움직이는 스토리텔링 콘텐츠 작성법
서론 (200자 이상)
많은 비영리단체가 후원자를 모집하기 위해 정직하게 활동을 공유하고 있지만, 그 내용을 보는 사람들의 마음이 쉽게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. 문제는 정보의 양이 아니라 전달 방식이다. 숫자와 실적 중심의 전달은 정보는 줄 수 있지만 감동을 전달하지는 못한다. 후원자가 ‘참여하고 싶다’고 느끼는 순간은 대부분 이야기를 통해 감정이 이입되었을 때 발생한다. 이 글에서는 비영리단체가 콘텐츠를 통해 후원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작성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. 단순한 활동 보고가 아닌, 사람 중심의 이야기로 구조화된 콘텐츠 기법을 배우고자 하는 단체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한다.
1. 왜 스토리텔링이 필요한가?
사람들은 사실보다 ‘사람의 경험’에 더 크게 반응한다.
“후원금 500만 원이 모였다”는 정보보다 “찬 바람 속에서도 매일 쓰레기를 줍는 한 아이”의 이야기가 더 기억에 남는다.
후원자들은 ‘도움이 필요한 상황’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, 도움이 어떻게 변화를 만들어내는가에 감동한다.
따라서 콘텐츠는 활동 보고서가 아니라 한 편의 짧은 이야기처럼 읽혀야 한다.
2. 스토리 콘텐츠의 핵심 구성 4단계
1) 등장인물 설정
도움을 받는 대상(사람, 동물, 지역사회 등)을 한 명 또는 하나로 설정한다. 구체적인 이름(가명도 가능), 나이, 특징 등을 포함해야 감정 이입이 쉬워진다.
예: “민준이는 올해 9살로, 서울 외곽의 반지하 집에서 혼자 시간을 보내는 시간이 많다.”
2) 문제 상황 제시
이 인물이 처한 문제나 한계 상황을 묘사한다. 막연한 설명이 아니라 일상적인 장면을 묘사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.
예: “겨울이 다가올수록 바닥에서 올라오는 냉기가 더 심해져, 민준이는 옷을 여러 겹 껴입고 공부를 한다.”
3) 단체의介入과 변화
단체가 어떻게 개입했고,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. 후원이 어떤 전환점을 만들었는지를 강조한다.
예: “우리 단체가 전달한 전기장판과 책상은 민준이의 방을 따뜻하고 환한 공간으로 바꾸어 놓았다.”
4) 후원자가 될 수 있다는 메시지
스토리를 마무리할 때는 “이 이야기는 당신의 참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”라는 가능성을 자연스럽게 제시해야 한다.
예: “민준이와 같은 아동이 더 많은 온기를 느낄 수 있도록, 지금 당신의 마음을 나눠주세요.”
3. 실제 사례: 좋은 스토리와 나쁜 스토리 비교
좋지 않은 예시 (정보형)
“올해 총 300명의 청소년에게 간식과 책을 제공했습니다.”
좋은 예시 (스토리형)
“학교 끝나고 집에 돌아온 수아는 책상 위에 놓인 첫 영어책을 보고 한참 동안 움직이지 못했습니다. 누군가 자신에게 관심을 가졌다는 사실이 처음이었기 때문입니다.”
정보형 콘텐츠는 실적 보고로서의 기능은 있지만, 후원자의 감정을 자극하기는 어렵다. 반면 스토리형 콘텐츠는 ‘내가 이 변화에 기여하고 싶다’는 마음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.
4. 스토리 제작 시 자주 하는 실수
-
대상을 복수로 설정: 이야기의 몰입도가 떨어진다 (예: "아이들" 대신 "지우"로 표현)
-
숫자 중심 구성: 정량적 수치는 부가적으로만 활용
-
감정 없는 문장: "지원받았다" 대신 "따뜻한 식사를 먹었다"처럼 느낌을 묘사해야 한다
-
단체 중심 표현: “우리가 지원했다”보다 “후원자 덕분에 아이가 변했다”가 더 효과적이다
5. 후원자를 움직이는 문장 예시
-
“당신의 마음은 누군가에게 내일을 살아갈 이유가 됩니다.”
-
“작은 정성이 오늘도 누군가의 하루를 지탱하고 있습니다.”
-
“당신이 준 온기가, 한 아이의 방을 따뜻하게 만들었습니다.”
이러한 문장은 **마무리 문구 또는 CTA(Call To Action)**에 사용하면 효과가 크다.
6. 실전 작성 팁
-
하나의 글에는 한 사람의 이야기만 담는다
-
모든 스토리는 사진 1장 이상과 함께 사용한다
-
제목은 이야기의 핵심 감정에 집중한다
예: “찬 바람을 이겨낸 아이, 민준이의 겨울”
마무리
비영리단체의 콘텐츠는 ‘정보’보다 ‘이야기’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. 후원자는 수치와 실적보다, 마음이 움직이는 한 문장을 보고 지갑을 연다. 이 글에서 소개한 스토리텔링 전략을 활용하면 단체의 메시지가 단순히 전달되는 것을 넘어, 공감과 행동으로 이어지는 콘텐츠로 발전할 수 있다. 작은 단체라도 진정성 있는 이야기 하나면 충분하다.